Something of Values , 하워드 막스 메모요약

 "Growth" stocks have meaingfully outperformed "value" for the last 13 years - so long that people are asking me whether it's going to be a permanent condition, My extensive discussions with Andrew led me to conclude that the focus on value growth doesn't serve investors well in the fast-changing world in which we live.

지난 13년 동안 "가치주"들에 비해 "성장주"들은 의미있는 성과를 보였습니다. - 그래서인지 사람들은 제게 물었습니다, 이 추세가 영원히 지속될 것인지
앤드류와의 이야기에서 내가 내린 결론은 '빠르게 변하는 세상에서 가치와 성장에 집중하는것이 투자자들에게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 입니다.

What is Value investing?

Now, determining this value in practice is quite challenging, and the key to success lies not in the ability to perform a mathematical calculation, but rather in making superior judgements regarding the relevant inputs. Simply put, the DCF method is the main tool of all value investors in their effort to make investment decisions based on companies' long term fundamentals.

이제, 가치를 측정하는것은 꽤 도전적인 것이 되었고, 성공의 열쇠는 수학적 계산 능력이 아닌 적절한 입력에 따른 선제적 판단을 하는가 이다. 간단히 말해, DCF방법은 모든 가치투자자들의 주요한 도구이다, 회사의 장기적인 펀더멘탈의 결정을 기초하여 투자하고자 노력하는.

Importantly, value investors recognize that the securities they buy are not just pieces of paper, but rather ownership stakes in (or, in the case of credit, claims on) actual businesses.
중요한것은, 가치 투자자들이 그들이 산 유가증권을 단순히 종이로 보는것이 아니라 실질적 사업의 주인으로 (채권이라면 청구권) 본다는 점입니다.

Mr.Market is there to serve us by offering up securities at prices, which can be meaningfully disconnected from the actual value of a stake or claim in the underlying business. In doing so, he sometimes gives us the opportunity to snatch up shares or bonds at a discount from their intrinsic value. This activity requires independent thought and a temperament that resists the emotional pull of the market cycle, making for decisions based solely on value.

미스커마켓은 가격을 제시하기 위해 존재한다, 의미있게 연결되지 않은, 사업에 기초한 채권이나 실직적 가치로부터.. 이것에 기초하여, 그는 가끔 내재한 가치보다 할인된 가격에 채권이나 주식을 낚아챌 기회를 주기도 한다. 이 행동은 독립된 생각을 요구하며,  시장 사이클의 감정유도에 저항할 기질을 요구한다, 오로지 가치에만 기준을 둔 결정을 하기 위해.

Thus, to me the essential underlying principles of value investing are these :
1. The understanding of securities as stakes in actual business.
2. The focus on true worth as opposed to price
3. The use of fundamentals to calculate intrinsic value
4. The recognition that attractive investments come when there is a wide divergence between the price at which something is offered in the market and the actual fundamental worth you've determined and
5. The emotional discipline to act when such an opportunity is presented and not otherwise.

그러므로, 나에게있어서는 가치투자에있어서 필수 원칙들을 따라야 한다 :
1. 유가증권을 실질 사업지분으로 이해한다
2. 가격이 아닌 실제 가치에 집중한다
3. 내재 가치를 계산하기위해 사업의 펀더멘탈을 사용한다
4. 매력적인 투자기회는 미스터마켓이 제시한 가격과 당신이 측정한 가치의 괴리가 클때 온다는 것을 인식
5. 기회가 왔을때는 행동하고 다른때에는 행동하지 않는 감정을 절제하는 능력.


Value vs. Growth

While Buffett has long understood that a company's prospects are an enormous component of its value, his general avoidance of technology stocks throughout his carrer may have unintentionally caused most value investors to boycott those stocks. Intriguingly, Buffett allows that his recent investment in APPLE has been one of his most successful.
버핏이 기업의 전망은 가치의 거대한 요소라는걸 이해한 오랜시간동안,  기술주에 대한 그의 일반적인 회피성향을 통해 그의 의도와는 다르게 가치투자자들이 그들의 주식에대한 전망을 고려하지 않게 만들었을 수 있다. 흥미롭게도, 버핏은 최근 그의 가장 성공적인 투자가 애플이라는 것을 허용했다.

But, "carrying low valuation parameters" is far from synonymous with "underprices." It's easy to be seduced by the former, but a stock with a low per, for example, is likely to be a bargain only if its current earnings and recent earnings growth are indicative of the future. Just purchasing low valuation metrics can lead you to so-called "value traps" things that look cheap on the numbers but aren't, because they have operating weaknesses or because the sales and earning creating those valuations can't be replicated in the future.
그러나, "낮은 가치수준"이 "낮은 가격"과는 동의어로는 거리가 멀다. 그것은 유혹당하기 쉽지만, 낮은 PER, 예를들면 싸게 파는것일 경우는 현재의 순이익이 미래의 순이익으로 성장하는 방향을 가져야 한다. 단지 낮은 가치만 볼경우 "가치함정"이라 불리는 것에 빠질 수 있다. 숫자상으로는 싸보이지만 그렇지 않은것.. 왜냐하면 그들의 사업이 약하고 혹은 미래에도 수익창출의 성장성이 없는 경우.

The two approaches - value and growth - have divided the investment world for the last fifty years. They've become not only schools of investing thought, but also labels used to differentiate products, managers and organizations. Based on this distinction, a persistent scoreboard is maintained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one camp against the other. Today it shows that the performance of value investing lagged that of growth investing over the past decade-plus (and massively so in 2020), leading some to declare value investing permanently dead while others assert that its great resurgence is just around the corner. My belief, especially after some deep reflection over the past year - prompted by my conversations with Andrew - is that the two should never been viewed as mutually exclusive to begin with.
가치,성장 두 도달점은 지난 50년간 투자에서 분리되어왔다. 그들은 투자사상의 거대 진영이 되었을 뿐만아니라, 투자상품, 기관, 매니저들 사이에서 사용된 라벨이었다.
구분을 바탕으로, 집요한 점수판은 유지 되었다, 다른 진영과의 성과 측정을 비교하며. 오늘날 이것은 지난 10년이상 가치투자자들의 성과가 성장투자자들에 비해 크게 뒤쳐진 것으로 보여졌고 (그리고 2020년에는 더 크게) , 가치투자자들의 죽음을 선언하도록 이끌어졌다, 한편 다른쪽에서는 위대한 부활이 다가 왔다고 하는 동안에 말이죠. 내 믿음은, 특별히 지난 몇년간 깊은 고민으로- 앤드류와의 대화를 특별히- 두가지를 처음부터 상호배타적인 관점으로 바라보아선 안된다 입니다.

The false Dichotomy of Value and Growth
가치와 성장의 잘못된 이분법

Value stocks, anchored by today's cash flows and asset values, should theoretically be "safer" and more protected, albeit less likely to earn the great returns delivered by companies that aspire to rapidly grow sales and earning into the distant future.
가치주, 오늘날의 현금흐름과 자산가치에 초점을 맞춘, 것들은 이론적으로 "안전"하고 더 보호된다, 비록 먼미래에 급속도의 성장과 수익을 열망하는 회사로부터 큰 보상을 받을 확률은 적지만.

Growth investing often entails belief in unproven business models that can suffer serious setbacks from time to time, requiring investors to have deep conviction so as to be able to hang on.
성장투자는 종종 때때로 증명되지 않은 비즈니스 모델에대한 믿음을 수반하여 심각한 고통을 가져올 수 있어, 투자자들은 오랜기간 붙잡을 수 있는 깊은 확신을 가질것을 요구한다.

When they're rising, growth stocks typically incorporate a level of optimisim that can evaporate during corrections, testing even the most steeled investor. And because growth stocks depend for most of their value on cash flows in the distant future that are heavily discounted in a DCF analysis, a given change in interest rates can have meaningfully greater impact on their valutions than it will on companies whose value comes mainly from near-term cash flows.
그들이 상승할때, 성장주는 전형적으로 측정할수없는 레벨의 낙관을 동반한다, 수정중에 증발할 수 있는, 가장 단련된 투자자들을 시험하는. 그리고 성장주들은 대부분 미래의 현금흐름에 가치를 의존하기 때문에 DCF분석에서 큰 할인을 받는다, 가까운 날에 현금흐름을 받는 회사들보다 주가 변동에서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

Despite these points, I don't believe the famous value investors who so influenced the field intended for there to be such a sharp delineation between value investing, with its focus on the present day, low price and predictability, and growth investing, with its emphasis on rapidly growing companies, even when selling at high valuations. Nor is the distinction essential, natural or helpful, especially in the complex world in which we find ourselves today.
이러한점에도 불구하고, 영향력있는 유명한 가치투자자들이 두 가치투자간의 첨예한 차이가 있는것 처럼 말하고 있습니다, 요즘들어서 낮은가격과 예측가능성, 그리고 성장투자, 회사의 고속겅장에서오는 강렬함, 높은 가격에 팔림에도 불구하고. 필연적, 자연적, 호의적인 의도없이, 특별히 복잡한세상에서 우리가 우리자신을 찾는것이다.


The  widely discussed distinction between value and growth made some people believe they only had hammers, when its fact they potentially had access to a whole toolbox. Now we live in a complex world where a range of tools is required for success.
가치와 성장사이의 사치를 넓게 논의하는것은 몇몇 사람들에게 그들이 오로지 해머만을 가지고있다고 믿도록했다, 잠재적인 다양한 연장박스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우리는 복잡한 세상에서 성공에 요구되는 넓은범위의 연장들을 가지고 있다.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