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관적으로 보면 홍콩경제의 불안 + 금융허브붕괴예상으로
홍콩에서 자금이 빠져나갈 것처럼 보여요.
그런데 실제로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보세요.
1. peg제도 이해
(고정환율제)
1USD = 7.75 ~7.85HKD
이 시스템 자체가 깨지지 않을까?
외인들이 홍콩에 많이 들어온 상태에서 홍콩경제가 불안해지면
자산을 매각 → HKD로 USD를 사서 시장을 나간다
그러면 HKD의 가치가 하락해야하는데
peg제로 고정되어있는 상태
홍콩의 HKMA(중앙은행급) 이 $4000억 보유
USD로 HKD를 조금씩 산다
Kyle bass (극단 비관론자) 'HKD는 무너진다'
언론매체에서 HKMA가 힘겹게 막고있지만 곧 무너질거같다
각종 이슈가 나옴
그러나 유지될 것같다.
만약 peg제도가 깨지려면 7.85HKD 위로 깨져야한다
그러나 환율은 7.75HKD 유지중
지금 오히려 홍콩에서는 절상압력을 받고있다
> 압력이 너무 강해서 오히려 HKD를 찍어 뿌리면서 USD를 산다
> USD창고가 두둑해지고 있는 상황
2. Impossible Trinity (불가능한 삼위일체)
A. 자유로운 자본이동 B. 독자적 통화정책 C. 안정적 환율
Emerging Country의 경우 3개를 다 가져가는 것은 불가능
결국 2가지를 선택해서 하게 되는데,
A,B를 선택하게 된다 (우리나라포함)
A,C를 선택한 나라가 바로 홍콩,사우디
대신 B를 희생하여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홍콩도 올리고
미국이 내리면 똑같이 내려야한다.
부작용의 예로 2010년
미국이 금리를 막 내려서 홍콩은 부동산버블임에도
금리를 내릴 수 밖에 없었다
B,C를 선택하는 옵션 (고정환율+금리변동자유)
가능한 이유 : 자본을 국가에서 통제
= 중국, 북한
2-1. 홍콩 Case
홍콩은 독자적인 금리변동을 할 수 없는 상태 (B희생)
이번에 미국이 금리 1%인하 했으나
홍콩은 0.64%밖에 인하하지 않았다.
= 홍콩금리가 미국금리보다 높아진다 → HKD가 더 매력적이다
3월 우한폐렴이 터지면서 단기간에 빚(USD)를 갚아야하는 사람들
USD를 모아놔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 USD 가치 폭등
그걸 보고 기간이 좀 여유있던 사람들도 USD 수요가 생겼어요
그래서 3월에는 미국이 제로금리, 홍콩 0.8% 금리였음에도
USD 수요가 급증
그런데 USD를 잔뜩 모아놓고 , 코로나에 적응하고보니
홍콩의 금리가 보이기 시작
= HKD 수요의 증가
2-2 마스크 = USD 같습니다
우리가 마스크를 집에 가지고 있는데도
마스크를 사기위해 줄을 섰잖아요?
이 경우 마스크의 공급이 늘어나도
마스크의 가수요가 폭증하니까 모자랐던거에요
그런데 코로나의 끝이 조금씩 보이니까
가수요가 쑥 빠진겁니다
이게 시장의 안정화 입니다
달러의 약세 측면에서 비유하면
우한폐렴 사태가 끝나도 사람들이 마스크를 버릴까요?
USD도 어느정도 약세는 오지만
하방은 막혀있을 겁니다. (예비수요)
2-3 중국 Case
중국의 금융위기 때 경기부양책을 해야하는데
GDP - C + T + X (소비 , 투자 , 수출)
어느쪽으로도 답이 안보였기때문에
투자로 방향을 잡고 국가 주도로 늘리기 시작했다
그러나 국제정세가 수요가 없던 상태
결국 과잉투자(과잉부채)로 내수성장으로 방향을 잡음
a. 금리인하 6차례
b. 위안화 절상 (막고있다가 풀어줌)
c. 후강퉁 (시장개방)
3가지를 모두 가져가보려 했지만 타이밍이 안좋았다
미국의 급성장 + 금리인상의 시기와 곂쳐서
미국시장이 너무 매력적이었던것
결국 중국에서 자본들이 미국으로 대거이동
( $1조 유출, 우리나라 외환보유고가 $4000억)
결국
수출X 성장X 부채△ 금리▽ + 트럼프 무역전쟁
= 2017~18년 중국이 눌리는 상황이 만들어진것
하지만 지금 다시
금리↓ + 위안화 절상 (a,b) 로 내수성장
= 다른 나라들이 금리를 내릴때 상대적으로 적게 내리면 가능함
유동성도 들어올 수 있기때문에
중국도 빠르게 자본시장 개방을 꾀하고 있다
부채도 해외자본의 유입으로 어느정도 해결이 가능
3. 달러의 약세, 올수도 있다
1. 국가의 성장 , 2. 국가의 금리 를 보고 환율을 보통 예상
2014년 미국성장▲ 금리▲ = 전세계자본유입 → USD강세
2019년 미국성장▲ 금리▽ = USD강세 (미국혼자성장)
2020년 하반기 미국성장▽예상 금리▽(1.5→0) = USD점진적 약세 예상
+
트럼프도 어느새 마이너스 금리얘기는 안하고
최근 강한달러를 원한다고 이야기함
마이너스금리일 경우 달러약세가 빨라지며,
미국으로의 자본흐름이 없어질 수 있기때문..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