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프로TV경제의 신과함께_오건영 신한AI 팀장
1. 현시황
주식시장은 성장과 금리를 같이 봐야한다
▷2017년 금리 3회 인상에도 코스피 2000 → 2600
▷US , Non-US 성장세 차이 / 2018Q4여러 성장국들의 금융위기에도 미국시장은 굳건
♡달러보유, 미국주식보유 필요한 이유가 아닐까? 헷지개념으로
지금은 성장은 상승세 금리는 하락세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선반영
♡만약 기대에 못미친다면 폭락장이 올까?
저금리 장기화에대한 확신으로 레버리지가 나오기 시작 = 2015년 중국 3000pt →5200pt
2. 물가상승 제한요인들
①Amazon효과
②달러강세 = 수입물가↓
③저유가 장기화
▷2008년 수요문제 - Fed의 QE로 해결 = 유가 급반등
▷1985년 공급문제(지금과비슷) - 산유국들의 감산합의 but. 이미 풀린게 너무많았다
= 유가반등 상당히 오래걸림
④구조조정지연
▷이론 = 금리↓- 투자↑ 고용↑ 소득↑ / 빚↑ 소비↑ 수요↑
▶실제 = 금리↓- 좀비기업↑- 생산↑ - 마진↓ / 공급↑- 물가↓(다시금리↓) = 물가상승제한
그럼 금리가 바닥이면? 마이너스 금리? = 한번하면 카드끝, 쉽게못한다
⑤빈부격차
▷현시황은 구조조정지연인데 자산시장이 상승함 WHY?
유동성↑ - 대출로 가지않고 조금이라도 이익이 나는곳으로 자금이 이동
A. 부동산 or B.성장기업(과도한 희소가치) = 성장주가가 하늘로
= 자산 많은놈이 더 많은 부를 축적 = 돈을 뿌려도 소비↓ = 물가상승제한
3. 리챠드 쿠 의견
경제대공황때 미국 -20%역성장
but 일본 IT버블붕괴직후 일본 +0.1% 성장 (부동산1/10폭락)
= "엄청난 선방이다, 현재 돈풀고 빚더미, 마이너스금리는 모두 선방하느라 나타나는것"
현시황도 디플레이션의 장기화 + 이란사태 + 무역분쟁 + 환율전쟁 + 우한폐렴사태
막느라 인플레이션 올 틈이없다
FED는 1.고용 2.물자 3.금융안정 중 3을 희생하고 디플레이션을 막는중
▷중장기적으로 통제 어려울 정도의 물가상승도 우려해야한다
ex)1970년대 그레이트인플레이션때 주식↓채권↓ 금↑원자재↑
ex)리먼사태도 인플레이션막다가 한방에 디플레이션이 왔다.
0 댓글